중국 동북3성의 쌀산업 구조변화 세계적인 개방화의 물결 속에서 우리 쌀 시장도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우리 쌀 시장은 2014년까지 관세화 전면개방이 유예되어 있지만, MMA 수입물량이 더 늘어나기 전에 관세화로 갈 것인지 선택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2015년부터 자동으로 관세화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우리쌀 경쟁력을 제고..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10.04.23
식량의 안정수급을 위한 식량안보지수 개발 I. 연구배경 및 목적 □ 최근 지하수의 고갈, 이상기후 등으로 식량 생산이 위협을 받고 있는 한편, 개발도상국의 인구증가와 경제발전으로 식량 수요가 급증하여 식량위기가 현실로 나타남 - 특히 식량의 주된 구성요소인 곡물의 수출은 특정국에 한정되어 있으며, 세계의 총 소비량 대비 교역량의 비..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9.07.28
쌀 중도관세화의 오해와 진실(서진교,이정환) 국제 쌀 가격의 고공행진과 WTO협상 결렬을 계기로 쌀 조기관세화에 대한 주장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있다 몇년전 대외정책연구원(KIEP)으로 자리를 옮긴 서진교 박사와 GSnJ 이사장인 이정환 박사가 공동으로 시선집중 GSnJ 제79호로 "쌀 중도관세화의 오해와 진실"이라는 보고서를..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9.06.02
인도 쌀 산업 개황 (KREI 김윤식) 쌀은 인도인의 65%가 주식으로 삼고 있으며 곡물 전체 생산량의 52%를 차지하는 중요한 품목이다. 쌀 생산은 1980년대 빠르게 증가하였지만 최근에는 증가 속도가 느려졌다. 과거에 비해 생산성이 많이 개선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인도 쌀의 생산성은 낮은 편이다. 주요 생산지는 펀잡, 서뱅갈, 우타르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