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 식량/KOPIA 스리랑카 22

토마토 교배종자 생산사업 현장컨설팅

라이스&커리가 스리랑카 식생활의 대표인데 토마토도 빠질 수 없지요.농산물 시장이나 수퍼에서 보면 흔히 보이는데 종자 자급률이 낮네요.그래서 농업기술을 지원하는 KOPIA 프로젝트에 종자 생산이 있지요.원예연구소를 주관으로 연구기관과 농가에 망실하우스를 지원하지요. 지난 달 KOPIA 소장단 연찬회를 마치고 돌어올 때, 토마토 고추 재배전문가로 원예원 채소과 출신 채영 박사님이 함께와서 큰힘이 됩니다.현장을 돌아보며 우리의 선진기술과 차이나는 부분을 살피고, 재배와수확 등 재배기술 요점을 짚어주며 컨설팅을 하니 많은 도움이 되네요. 스리랑카 토마토 종자 생산은 이제 3년차인데 잘 진행되고 있으니,올해는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고 종자자급률 향상에 기여하겠네요.

농업기술협력사업 KOPIA 소장단 연찬회

원조를 받고 성장해서 자립하여 이제 원조하는 나라가 된 대한민국,농업기술협력사업 KOPIA 소장단 연찬회가 있어서 잠시 귀국했네요.지난 1월 22~24일까지 농촌진흥청 국제회의장과 전주라한호텔에서개최되었는데, 각자 어려운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경험을 나눴네요. 첫날은 농촌진흥청에서 우수기관 표창과 함께 사업을 마감한 필리핀,캄보디아, 파라과이 3개국 센터에 대한 공로패 수여와 우수사례 발표,둘째날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센터별 성과 공유 및 조직소통 교육, 셋째날 센터 현안 업무협의, 수출지원 사업 등 알찬 시간을 가졌네요. [참고1] 아프리카 기아해결 힘쓴 KOPIA 김충회 소장, 한광호 농업상 '공로상' 수상 -  머니투데이 | 네이버  = https://naver.me/xjgRqW0a [참고2]..

고추 교배종자 생산지원 프로젝트 점검

KOPIA 스리랑카 센터에서는 고추 종자 증식사업을 지원하고 있네요.필수채소 종자 자급률이 낮다보니 토마토와 고추 등 종자생산 지원을통해 자급률을 높여 외화 수요도 줄이고 농업생산 안정화를 기하지요.제가 자신있는 분야는 아닌데 계속사업을 맡다보니 그렇게 되었네요.  이제 4개월 되니 생활환경도 익숙해지고 현장에도 자주 가게 되는데,이번에는 중부주의 Ambatenna 지역의 종자생산센터를 방문해 보니,외환사정으로 망실하우스 구축이 지연되었지만 열심히 하고 있네요.남부 Middeniya 지역에는 청장이 방문 격려해주고 TV에도 나왔네요. * TV News 전체영상(10분) : https://www.youtube.com/live/2YfWrefqjhg?si=MJr5eTPggqk4p4IZ스리랑카 RK-TV 뉴스 ..

실론티의 고장 스리랑카 내륙 기차여행

스리랑카를 대표하는 상품은 홍차와 고무 등 플랜테이션 작물이지요.유럽열강의 식민지 시절에 산지를 개간해 대규모 농장을 건설했지요.중부지역 해발 1,000~2,000m 되는 고산지대가 실론티의 주산지네요.100여년 전에 건설된 산악열차 탑승이 '스리랑카 여행의 백미'라지요. 스리랑카에 온지 100일이 지나서 모처럼만에 연휴를 맞아 기차타고차밭지대를 둘러보며 나인 아치 브릿지가 있는 엘라까지 다녀왔네요.캔디에서 엘라까지는 155km밖에 안되는데 해발 1~2천m 산악지대를질러 가니 7~8시간 걸리는데, 차밭 실컷 구경하며 낭만여행을 했네요. 스리랑카 캔디에서 낭만기차 타고 가는 차밭여행유명한 관광지가 있는 조그만 시골마을 엘라역에 도착 여장을 풀고,시내를 천천히 걸어 예약한 숙소 찾아쉬고 다음여정 기대해 주세요.

열대채소 과일이 풍성한 농산물시장 구경

농업기술협력 ODA 사업 KOPIA 스리랑카센터 소장으로 부임해이제 해를 넘기고 4개월쯤 되니 현지 물정은 대충 감이 잡히네요.오래 전에 아프리카 열대 지역에서 1년쯤 살아본 경험이 있으니,비교적 빨리 적응하고 있는데 그래도 아직은 낯설고 서투르지요. 이번에 신규 연구원이 1명 와서 원예학을 전공했는데 열대지역은처음이라고 해서 업무소개를 하고 먼저 농산물시장부터 찾았네요.내가 처음에 와서 자청해서 찾아갔던 캔디 중앙시장으로 데리고가우리 사업에서 생산하는 토마토 고추부터 채소들을 살피게 했네요. 개발 도상국에 가면 그 지역에서 나는 농산물의 구조를 알아야생산과 소비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감잡을 수 있으니 필수지요.

양파 시범마을 추가지원 농가방문 격려

KOPIA 스리랑카 센터에서는 지난 13년 동안 농업기술 협력사업으로15개 과제를 수행했는데 여기저기서 적지않은 성과가 나오고 있네요.최근 2년간 자투리 예산으로 그동안 수행된 과제에 대한 추가 지원을했는데, 양파생산 시범마을에서 열린 농자재 배부행사에 다녀왔네요. 스리랑카 중북부 지역에 있는 전작연구소(FCRDI) 주관으로 조성한양파 종자생산 시범마을 50여 농가들에게 기술교육도 하고, 한국산농자재를 추가로 더 나눠주니 입이 함박만해지고 웃음꽃이 피었네요. 조그만 선물이지만 격려를 해주고 주변 농가현장도 살펴보고 왔네요.  이 지역은 KOPIA 시범마을로 선정된 곳이라 농가들의 참여율도 높고,농업 현장을 둘러보니 농작물도 다양하고 보람을 많이 느끼고 왔네요.

스리랑카 한인회 동포 한마음 잔치 성황

스리랑카 한국교민이 600여명 되는데 한인회가 구성된지 45년이 되었네요.지난 토요일 밤 한인회 창립 45주년 기념으로 동포 한마음 진치를 벌였네요.콜롬보 항구 근처에 있는 갈라다리 호텔 그랜드 볼룸을 빌려 바자회를 열고,국민의례와 기념영상, 축사, 시상식 등에 이어 만찬과 장기자랑도 있었지요. 고추장, 된장, 라면, 한국과자 등 바자회도 열리고, 식전행사는 좀 길었지만,한국식당에서 준비했는지 배추김치까지 있는 호텔부페식당 만찬을 했네요.식후 교민 재주꾼들의 장기자랑이 있었는데, 악기와 노래 춤 등 다양했네요.어른과 아이들 350여명이 참석했는데 캔디에서는 버스 1대로 함께 갔네요. 한인학교 어린이들의 율동과 노래를 따라 독도는 우리땅 합창

고추 교배종자 생산 프로젝트 현장점검

한국과 스리랑카의 농업기술 협력사업인 KOPIA 스리랑카 센터 소장으로부임해서 사업 전반을 파악하느라 현장출장을 몇번 가고 오랫만에 갔네요.업무파악도 되기 전에 평가회와 연차보고서 등 중요한 일정이 겹쳐 현장을가보지 못하다 지난 주말까지 평가보고서 다 마치고 현장점검에 나섰네요. 3개년 프로젝트 1년차 과제인 고추 교배종자 생산 시범마을 조성사업인데사업지역이 스리랑카 전역에 흩어져 있어 전체를 둘러보기가 쉽지 않네요.외환사정으로 시설구축이 늦어지긴 했지만 이번에 남쪽 3개소를 1박2일로돌아봤는데, 이제 정상적으로 잘 진행되고 있어 다행이고 열심히들 하네요. 스리랑카의 외환위기 상황에서 소장 교체라는 악재까지 겹쳤으니,주어진 상황으로 인정하고 내년에는 좀더 잘해보자고 다짐합니다.

한국대사와 농업청 방문 KOPIA 소개

스리랑카에 온지 이제 두달반쯤 되었는데 이런저런 할일이 많네요.농업개발 지원을 하고 있는 KOPIA 센터는 농업청과 협력기관인데,마침 한국 대사님이 농업청장을 만나러 오셨기에 함께 동석했네요.농업청에 가기 전에 페러데니야대학 총장을 먼저 만나게 되었지요. 대학교 총장과는 직접적인 일은 없지만 농업청장 만나러 가는 길에대사님이 먼저 약속이 있다고 하셔서 우연하게 함께 하게 되었네요.좋은 분들을 만나는 영광을 얻었고 농업청장과는 안면이 있었으니,자연스럽게 사업이야기를 했고 다음날은 교민모임에도 참석했네요. 요즘 연말이 되어가니 올해 사업 연차보고서와 평가자료 등 일들이 만만찮은데 그래도 대외협력 할일도 많아 바쁘네요.

KOPIA 센터 주변의 농업공원 산책길

KOPIA 스리랑카 센터가 있는 캔디 입구 페러데니야 농업공원은원예연구소(HORDI)가 중심이 되고, 우리 센터의 입구에 있지요.아침마다 주변 산책을 하면서 농업공원의 구석구석을 음미하며,캔디나 콜롬보에서 가끔씩 찾아오는 교민들에게 안내를 하지요. 주말 가리지 않고 찾아오시는 분들이 있으면 거기로 안내합니다.열대정글을 잘 다듬어 각종 채소뿐만 아니라 열대과수, 뿌리작물,허브작물, 아름드리 열대수목 등 다양한 식생을 살펴볼 수 있지요.정글에서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도구들도 다양하게 볼 수 있네요. 저희 KOPIA센터 바로 옆에 있어 저의 산책로이기도 하지만,손님들에게 열대농업을 집약적으로 보여드리기 맞춤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