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식량안보 대안은 무엇인가? 국회 정책토론회 발표를 했네요.
식량안보 활동은 했어도 퇴직한 지 벌써 5년차인데 나설 자리인지는
모르겠지만, '기후위기 시대 식량자급 대응방안' 주제발표를 했네요.
8월 31일 국회의원회관 영상회의실에서 줌으로 토론회를 가졌지요.
한발과 홍수 등 기후재난 빈발과 코로나19로 인해 식량자급 문제가
국가안보 차원에서 깊숙히 다뤄야 할 핵심 농정과제가 되고 있지요.
1970년대 국가적인 총력을 기울여 주곡(쌀) 자급을 달성한 경험으로,
전체식량의 지속적 자급을 위해 정책적인 관심을 더 집중해야겠지요.
*프레시안 보도 : 기후재난과 감염병 대비, 식량안보 강화해야 (naver.com)
기후재난과 감염병 대비, '식량안보' 강화해야
국회 서삼석 의원 광주전남연구원 공동 주최 '위기의 식량자급 토론회 개최...기후변화로 세계 식량수급 불안정...코로나19 이후 세계 각국 식량안보정책 강화 기후재난의 빈번해지고 코로나19
n.news.naver.com
국회 농해수위원회 서삼석 의원 유투브 채널로 생중계되었어요.
*유투브 '서삼석 TV' 다시보기 : https://youtu.be/NI3WCqhCZqs
* 농촌여성신문에도 보도되었네요.
https://www.r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795
'농업과 식량 > 식량안보 대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변화에 대비하는 식량안보 강화 (0) | 2022.06.14 |
---|---|
가나 쌀 산업과 가치사슬 개선 화상강의 (0) | 2022.05.13 |
기후변화와 식량안보, 독서아카데미 강의 (0) | 2021.05.27 |
감염병과 기후변화 속 ‘식량안보’ 빨간불 (0) | 2020.11.19 |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식량안보 강화 [박평식] (0) | 2020.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