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에 대한 농업투자환경 조사
박평식*․ 박승용* ․ 유홍섭* ․ 이상덕**
*농촌진흥청 식량과학원, **국외농업기술팀
Agricultural Situation and Investment Condition of Uzbekistan
Pyung-Sik Park*, Sung-Yong Park*, Hong-Seob Yu*, Sang-Duk Lee**
*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441-857, Korea
* International Agricultural R&D Team, RDA, Suwon, 441-707, Korea
ABSTRACT : The food problem is one of the big issues causing international economic crisis. The world's grain consumption has surpassed the supply, it is expected that the price of grains will continue to increase. Korea has achieved self-sufficiency of rice, but that of other grains is very low such as wheat, corn and soybean. Korea is one of the world's largest grain importers, Consequently, Korea should exert great effort to prepare for food security.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gricultural situation of Uzbekistan in Central Asia to secure food production base. Uzbekistan has relatively vast land resource and development potential. Furthermore, it is a main exporter of wheat and cotton. Uzbekistan is interested in agricultural development, but it needs high technology and capital investment from Korea.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losely observe the world's supply and demand situation, plan policies to diversify import sources, to maintain and expand the domestic production base, and to secure overseas grain production base.
Korea needs to develop the overseas food production base such as Uzbekistan which has much potential, and increase investment for research to implement the self-sufficiency. The areas with possibility for investment in Uzbekistan's agriculture are as follows ;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green house facilities, irrigation system and water-saving technique,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co-operation, and etc. Investment 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foreign agriculture should proceed vigorously.
* Key words : Uzbekistan, agriculture, food production base, grain, food security, self-sufficiency, investment
서 론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은 동양과 서양을 잇는 유라시아의 요충지로 실크로드가 지나고 있다. 천연자원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원산의 유전자원이 풍부하고 광활한 토지에서 면화, 밀 등을 생산하여 수출하는 자원부국으로 발전 잠재력이 큰 나라이다. 우즈베키스탄은 독립국가연합(CIS)의 일원으로, 한국의 약 4배에 달하는 넓은 국토면적과 아직 개발되지 않은 스텝지역이 있고, 우리의 기술과 자본투자에 대한 수요가 큰 것으로 보인다. 소비에트 연방공화국에서 1991년에 분리 독립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투자정보와 우리 농기업의 진출사례, 그리고 연구 자료가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우즈베키스탄을 대상으로 2009년 6월 15일부터 30일까지 16일간 농업일반, 농업정책, 농업기반, 가공유통, 투자여건 등 관련기관 전문가가 참여하여 농업투자환경을 조사하였다. 농업환경 조사에는 농촌진흥청, 농어촌공사, 농협중앙회, 농수산물유통공사, 관심 있는 민간기업, 현지진출업체 등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고 농업이 다양한 우즈베키스탄의 농업환경, 농업생산 및 지원체계 등 농업일반과 정책여건을 살펴보고 농산업 농업투자진출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코자 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의 농업환경
1. 지형 및 지세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중심부에 동서로 길게 자리 잡은 국가로 동경 56-73°, 북위 37-46° 사이에 위치하여 우리나라보다 위도가 약간 높다. 서북쪽으로는 아랄해 남쪽의 카라칼파크스탄(Karakalpakstan) 자치공화국을 포함하고 있고, 북쪽으로는 카자흐스탄, 남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 남서쪽으로는 투르크메니스탄과 Amu Darya 강이 경계를 이루며, 동북쪽으로는 키르키즈스탄, 동남쪽으로는 타지키스탄과 이웃해 있다.
국토면적은 447,400㎢로서 한반도의 약 2배, 남한의 4배이고 동서의 길이가 1,425km, 남북이 930km로서 동서길이가 1.5배 정도 길다. 국토의 약 79%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사막인 Kyzylkum 사막을 포함하는 저지대의 사막 또는 평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로 서부지역과 중부지역이 여기에 해당되며 이 사막은 국토면적의 15%를 차지하는 북동부의 Tien Shan 산맥과 남동부의 Gissar-Alai 산맥 및 동부지역의 중앙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산맥과 접하여 있다.
국토의 가장 높은 곳은 남동부에 위치한 Adelunga Toghi로 해발 4,301m이고, 가장 낮은 곳은 서부에 위치한 Sariqarnish Kuli로 -12m이다. 우즈베키스탄의 남동부 지역은 텐산산맥의 구릉지대로 특징지어지며, 이 산은 키르키즈스탄과 타지키스탄으로 갈수록 더 높아지고, 중국과 중앙아시아간 자연적 경계를 형성한다. 동북부에 있는 Fergana Valley는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비옥한 곳으로 넓이는 21,440㎢이고, Kyzylkum 사막의 동쪽 끝에 위치하며, 북․동․남 세 방향은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밸리의 서쪽은 우즈베키스탄의 북동쪽을 가로질러 카자흐스탄으로 흐르는 Syr Darya 강과 경계를 이룬다.
Figure 1. Map of Uzbekistan
2. 기후 및 강수량
우즈베키스탄은 아열대와 온대지역 중간보다 약간 북쪽에 위치하여 기후는 지리적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강한 일사량, 특이한 지표면과 대기 순환이 어우러져 전형적인 사막형 대륙성 기후를 형성한다. 온도의 계절적 및 일교차가 심하고, 길고 무덥고 건조한 여름, 봄은 습하고 겨울은 따뜻하지만 변화무쌍한 것이 특징이다. 지역에 따라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27℃(북부)에서 30℃(남부)이고, 최고기온은 45~47℃에 이른다. 한겨울인 1월의 평균 기온은 -1℃(남부)에서 -8℃(북부)로 우리나라보다 온화한 편이다.
작물재배 적산온도도 매우 높아 주요작물 재배지역은 4,000℃ 이상의 적산온도를 나타내어 우리나라보다 높은 편이다. 강수량은 12월부터 4월에 집중하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작물 재배지역은 대략 100-400mm 범위에 속하며 부족한 농업용수는 겨울철에 집중되는 강설 등에 의한 저수지 용수로 해결한다.
이러한 기후적 특성으로 농업용수 조달이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로 밀과 면화, 그리고 목축업과 과수농업이 발달해 있다. 감온형의 여름 콩은 4월 중순부터 7월 하순까지 파종이 가능하여 2기작이 가능하고, 감광형인 가을 콩은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 파종이 가능하여 밀 등 동계 맥류 후작으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Table 1. Temperature and rainfall of Tashkent (Recent 3 years)
Weather |
Jan |
Feb |
Mar |
Apr |
May |
Jun |
Jul |
Aug |
Sep |
Oct |
Nov |
Dec |
Max temp. |
5 |
6 |
12 |
21 |
26 |
32 |
35 |
33 |
28 |
20 |
12 |
7 |
Min temp. |
-2 |
-1 |
4 |
10 |
14 |
18 |
20 |
18 |
13 |
8 |
3 |
0 |
Mean(℃) |
-0.6 |
1.9 |
7.9 |
14.7 |
20.1 |
24.9 |
27.0 |
25.0 |
19.6 |
12.8 |
6.6 |
1.9 |
Rainfall(mm) |
49 |
52 |
73 |
57 |
32 |
11 |
3 |
2 |
4 |
27 |
41 |
54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제21권 제4호(2009.12) PP. 229~239.
* 이하 본문은 첨부한 PDF 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농업경영 정보 > 연구논문 & 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PIA DR콩고 농업기술 협력사업 논문 발표 (0) | 2012.11.14 |
---|---|
농업기술 국제교류를 주제로 학회발표 (0) | 2012.05.09 |
세계 식량수급 동향과 식량안보 (0) | 2010.01.06 |
식량기지 확보를 위한 카자흐스탄 농업투자환경 (0) | 2010.01.05 |
식량기지 확보를 위한 카자흐스탄 농업환경 (0) | 2009.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