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안 곡물 자급자족을”…‘식량주권’ 운동 싹터 | |
지구촌 식량위기 농업을 다시 본다 7. 위기는 기회-한국농업의선택 | |
2008. 7. 13(일) | 홍용덕 기자 |
미국·호주 재배지 줄여 쌀도 안심못해
충남·경북 ‘지산지소’ ‘로컬푸드’ 등 생산자-소비자 조직적 연결 움직임
국제 곡물가격 폭등 여파로 비료값 사료값이 폭등하자, 농민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축산농민 전기환(47·강원도 춘천시)씨는 “사료를 먹이면 먹일수록 손해가 난다. 감당이 안 된다. 사료값은 둘째치고 생활이 안 된다”고 말했다. 가축 사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국내 수입 조사료값은 지난 2005년 t당 184달러에서 올해 243달러로 32%, 옥수수는 t당 140달러에서 357달러로 155%가 폭등했다. 미국산 수입 쇠고기에 이어 축산농민은 국제 곡물가 상승의 ‘폭탄’을 맞았다.
국제곡물가격이 오르면서 자국내 전업 농민 1인당 소득액이 1억원에 이르자, 미 상무부는 “올해는 번영과 성장의 해”라고 말했다. 국내 농가는 어떨까? 국내 농가 1가구당 가처분 가능소득은 지난 1995년 2162만원에서 지난해 2442만원으로 12년 동안 거의 제자리 걸음을 한 반면, 1가구당 부채는 916만원에서 2994만원으로 3배 이상으로 늘면서 농민들 속은 ‘숯검댕’이가 됐다.
‘장바구니’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 1인당 연간 밀 소비량은 쌀(77㎏)의 절반인 35㎏. 매년 전체 수요량의 99%인 357만t을 수입하는 밀의 국제 선물가격이 지난 2006년 t당 142달러에서 올해 367달러로 258%가 뛰었다. 밀 수입가격 폭등은 지난해 1월부터 지난 3월까지 국수 57.9%, 라면 23.6%, 빵 16.0%, 두부 22% 등 수입밀과 콩을 쓰는 식품가격 폭등으로 이어졌다. 같은 기간 일반물가는 7.5% 올랐다. 높은 쌀 자급률이 식품 가격의 완충 역할을 했지만 안심할 상태는 아니다.
농협경제연구소는 “10년 간격의 흉작에 기상이변으로 쌀 부족 위기는 상시적이지만 우리의 주식인 쌀을 생산하는 미국과 호주는 되레 재배지를 줄였다”며 “쌀 공급량이 30% 줄면 쌀 가격은 최대 146%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 가격으로 현재 20㎏당 4만6천원인 쌀값이 6만6천∼11만3천원으로 오르고 저소득층 식료품비는 9% 늘 것이라는 분석이다. 농협경제연구소 김영섭 수석연구원은 “1981년 병충해와 이상저온으로 쌀 생산량이 36% 줄자 4년에 걸쳐 273만t을 수입했는데 당시 쌀값이 28% 뛰고 그나마 수입할 쌀이 부족해 잘 안 먹는 ‘안남미’(베트남·타이 등 동남아시아쌀)까지 수입했다”고 말했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세계 식량위기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농림수산식품부 박선우 식량정책팀장은 “저개발 국가는 수급 위기이지만 우리는 가격위기”라고 말했다. 곡물 자급률 증대와 해외 곡물자원의 확보, 국제 선물시장 참여 등의 다양한 대책이 제시되는 가운데 식량자급률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한 때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영미 전국여성농민회총연맹 정책위원장은 “자국 국민이 굶어죽는데 식량을 수출할 나라는 없다”며 “생산자인 농민과 실제 식량을 먹는 소비자가 스스로 지역 안에서 식량을 책임질 수 있도록 자체단체가 협력해 ‘식량주권’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충남 천안시가 2년전부터 지역 생산자와 지역 소비자를 잇는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을 벌여 지난해에만 150억여원의 지역 안 농산물 유통 효과를 거뒀다. 충남 서천군과 경북도도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로컬 푸드(local food)’ 운동 착수를 준비하는 등 다양한 식량주권 회복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경남대 김종덕 교수(사회학)는 “생산자인 농민과 소비자를 격리시키고 소비자를 먹거리의 생산으로부터 무력화시키는 세계식량 체제야말로 식량위기의 원인”이라며 “지역 농산물에 대한 의무적 구매 확대, 생산자와 소비자의 조직적 연결, 제도와 조례 정비, 정부와 지자체의 재정 지원 등을 통해 지역 생산자와 지역 소비자가 지역 식량 자급률을 높일 수 있도록 범정부적 노력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
기사등록 : 2008-07-13 오후 09:42:26 |
'농업과 식량 > 식량안보 대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량자급을 위한 기술개발 성과와 과제 (0) | 2008.07.18 |
---|---|
‘제2의 녹색혁명’ 가능할까 (한겨레) (0) | 2008.07.15 |
북 700만명 ‘굶기를 밥먹듯’…하반기 최대위기 (0) | 2008.07.08 |
곡물시장 ‘투기 괴물’ 21억명 숨통 ‘쥐락펴락’ (0) | 2008.07.03 |
“위협받는 식량안보 대안은 무엇인가?” 심포지엄 (0) | 2008.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