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은 언제 팔아야 제일 비쌀까? [시선집중] 올해 극심한 가뭄과 세차례의 태풍을 겪었음에도 들판은 황금들녘이다. 조풍과 백수 피해로 막바지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수확기를 맞았다. 쌀을 수확한 농업인은 이제 언제 어떻게 팔아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쌀을 언제 파는게 유리한 것인지 분석한 자료가 있으니 참고하기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12.10.09
쌀을 식량원조에 사용할 수 있을까? 시선집중 GSnJ 제96호는 국제협력연구 두번째 시리즈로 GS&J 아시아 아프리카 협력연구센터 이명수 소장이 집필했다. 우리나라 쌀 재고문제 해소와 국제사회 기여도 제고를 위한 식량원조에 쌀을 사용할 수 있을지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있다. 어려운 문제이지만 우리 쌀 재고문제 해결을 위해 수출방안.. 농업과 식량/식량안보 대응 2010.03.03
쌀 중도관세화의 오해와 진실(서진교,이정환) 국제 쌀 가격의 고공행진과 WTO협상 결렬을 계기로 쌀 조기관세화에 대한 주장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있다 몇년전 대외정책연구원(KIEP)으로 자리를 옮긴 서진교 박사와 GSnJ 이사장인 이정환 박사가 공동으로 시선집중 GSnJ 제79호로 "쌀 중도관세화의 오해와 진실"이라는 보고서를..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9.06.02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 바이오매스 활용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 바이오매스 활용 (요약) ○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10위인 우리나라는 저탄소녹색성장이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다. ○ 정부도 2009년 2월「저탄소 녹색성장 추진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발전부문에서 화석연료를 신재생에너지로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9.05.06
뉴질랜드의 농업개혁, 우리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요즘 선진국 농업개혁의 모델로 뉴질랜드와 네델란드가 자주 거론되고 있습니다. 농업정책연구소인 GSnJ의 농업구조 연구시리즈 5호 '뉴질랜드의 농업개혁, 우리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시선집중 GSnJ 제77호는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와 이정환 GSnJ 이사장이 공동 집필하였습니다. 뉴질랜드의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9.04.21
함정에 빠진 쌀 직불금 논의 어디로? (이정환) [시선집중 70호] 함정에 빠진 쌀 직불금 논의, 어디로 갈 것인가? ○ 현재 국회에서 진행 중인 쌀직불금 논의가 “어떻게 실경작자를 가려낼 것인가?” “고소득 농외소득자와 신규 논농업 진입자를 배제할 것인가?” “지급상한을 얼마로 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 실경작자를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12.30
산지유통조직의 규모화와 조직력 강화 (위태석) 시선집중 GSnJ 제 65호는 농산물 유통연구 다섯번째 시리즈로 "산지유통조직의 규모화와 조직력 강화: 모순과 그 해법", GS&J 연구위원 위태석 농촌진흥청 연구사가 집필하였습니다. [목 차] 1. 산지조직화·규모화의 배경과 문제점 2. 조직력과 규모화의 모순과 극복방안 3. 농협 사업방식의 한계와 대안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09.19
WTO는 식량수출 통제를 허용하는가? (최승환) * 시선집중 GSnJ는 GSnJ 임직원의 토론을 거쳐 격주로 발간되는 연구리포트, e-journal 입니다. [DDA/FTA 시리즈 15] ▶보러가기 WTO는 식량수출 통제를 허용하는가? 최승환 (경희대 교수) 1. 식량수출 통제는 수출입국 모두에게 큰 관심사 2. WTO 협정상의 수출통제 관련된 규정 3. 식량안보를 위한 수출통제 4. 식..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07.23
DDA 농업협상, 미래농업설계도 요구 (서진교) [DDA/FTA 시리즈 14] ▶보러가기 DDA 농업협상, 우리 농업의 미래설계도를 요구하고 있다. GS&J 연구위원 서진교 (KIEP 무역투자정책실장) 1. DDA 농업협상 세부원칙(modality) 3차 수정안 배포 2. 시장접근분야 주요 내용과 의미 3. 국내보조분야 주요 내용과 의미 4.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06.09
미국산 쇠고기, 수입금지 기간동안 무슨 일이? 시선집중 GSnJ 제 59호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금지 기간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나?" 축산업 연구 열두번째 시리즈로 이정환 GSnJ 이사장과 김재훈 GSnJ 연구원이 공동 집필하였다. [목 차] 1.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불안감의 함정 2. 미국산 쇠고기 시장의 급팽창과 광우병 파동의 영향 3. 미국산 쇠고기 수..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