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농촌마을에는 탁월한 역량의 리더가 있다
|
= 농촌마을 지도자의 리더십역량 향상 프로그램』책자 발간 =
|
FTA 확대 등 농산물시장 개방이 가속화 되고 고령화 과소화로 농촌사회가 위기인 상황에서 그 어느 때보다 농업·농촌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해 나갈 역량 있는 리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는 농촌마을 지도자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책자를 700부 발간하여 농촌마을 지도자 교육기관, 전문가 등에 배부하였다.
마을 지도자와 주민 546명을 대상으로 리더교육 관련 설문조사를 한 결과, 마을지도자가 요구하는 주요교육내용은 정부정책 전반(16.3%), 분야별 전문기술(14.9%), 갈등관리(13.1%) 등의 순이지만, 주민은 정부정책전반(17.9%), 자기지역에 대한 이해(16.2%), 사회전반에 대한 이해(13.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농촌현장 리더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구성원 육성, 관계구축, 유연성, 정보수집 및 활용, 비전제시, 의사소통, 벤치마킹, 아이디어 창출 등 22개의 역량을 선정하여 구체화하였고, 이런 리더십역량 개발 시 우선순위를 4영역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1순위인 코칭/피드백, 프로그램관리, 정보수집, 프리젠테이션, 학습과 같은 역량은, 중요도는 높으나 성취도가 낮아 노력집중(concentrate here)을 통해 시급하게 향상되어야 하는 역량이며, 2순위인 의사소통, 비전제시, 성과측정, 유연성 등의 역량은 중요성과 성취도가 모두 높아 그 상태를 계속 유지(keep up the good work)해야 한다.
3순위는 협상, 갈등관리, 벤치마킹, 사업관리 등의 역량으로 중요도와 성취도 모두 낮아 현재 이상의 노력이 불필요한 낮은 우선순위(low priority)에 해당하며, 4순위에 속하는 마을사업 이해, 동기부여의 역량은 중요도는 낮은데 성취도는 높아 과잉노력지양(possible overkill)에 해당하는데 이런 역량 향상을 위해 투입한 노력을 다른 역량에 투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역리더의 역량개발에 있어 사업이해나 동기부여보다는 코칭/피드백, 프로그램의 관리, 브랜드개발, 벤치마킹 등의 역량개발에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함을 나타낸다.
또한, 이장, 마을개발사업 추진위원장과 총무, 새마을지도자 등 농촌리더의 리더십역량 IPA 결과 집단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들에게 집중화가 요구되는 역량으로, 이장은 벤치마킹, 브랜드개발, 갈등관리 등의 역량, 마을개발 추진위원장과 총무 등의 리더에게는 브랜드개발, 벤치마킹, 구성원육성 등의 역량, 새마을지도자는 프로그램관리, 코칭/피드백, 프리젠테이션 등의 역량이었다. 이는 각각의 농촌리더들이 수행하는 역할의 특성 및 지역 주민들의 각 리더에 대한 역할기대 차이에 따른 결과라 여겨진다. 또 22개 리더십 역량별로 구성요소와 행동지표를 개발하여 농촌마을 지도자의 리더십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육대상의 특성을 고려해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발한 1박 2일, 2박 3일 프로그램을 26종 예시하였다.
농촌진흥청 고정숙 박사는 ‘농촌마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도자의 탁월한 역량이 필수적이므로 농촌인력 육성 담당자가 지도자의 역량 향상 교육 시 활용하여 농촌의 내적 성장 동력 확충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 내용은 농촌자원개발연구소 홈페이지(www.rrdi.go.kr) → 자료실→ 참고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김경미 031-299-0461 |
게시일 2008-03-06 14:11:00.0 |
'농업경영 정보 > 농업경영 C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웰빙오색미로 개방화의 파고를 넘는다 (0) | 2008.04.10 |
---|---|
'흙돌이와 밥순이' 브랜드 사례 (광야농장) (0) | 2008.03.18 |
"독창적 가치창조 기회무궁"(참다래유통사업단, 정운천) (0) | 2008.03.12 |
"농업경영도 프로의식으로"(벤처농업포럼 김양식 회장) (0) | 2008.03.12 |
"정으로 도시민 맞아야"(남해 다랭이마을, 김주성) (0) | 2008.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