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 식량/KOPIA 스리랑카

한국 연구자들 우리 KOPIA 센터 방문

곳간지기1 2025. 5. 19. 06:30

농업연구자들이 학회 참석차 왔던 길에 우리 센터를 방문했네요.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출신 제주대 송관정 교수와, 녹차를

연구하는 온난화대응연구소 연구원들이 함께 센터를 찾아왔네요.

스스로 찾아온 손님들을 정성껏 맞아 기꺼이 안내를 해드렸지요.

 

페이스북 메신저를 통해 스리랑카에 출장온다는 소식을 전해와,

센터 현황자료도 업데이트 하고 몇 가지 소개자료도 준비했지요.

우리 센터 사업을 소개하고 토마토 교배종자 생산 망실하우스와

농업공원, 농업박물관, 페러데니야대학 농장 등도 둘러보았네요.

 

스리랑카 캔디에 있는 KOPIA 스리랑카 센터를 방문한 연구자들
우리 센터 방문자에게 먼저 PPT로 센터의 사업현황을 소개하지요.
원예원 출신의 제주대학교 송관정 교수와 온난화대응연구소(제주) 연구원들
스리랑카 개요와 KOPIA 사업현황을 설명하고 토마토 망실하우스 사업현장에
지난 3월 28일과 4월중에 정식해서 잘 자라고 있는 토마토 포트재배
제주대에서 석사학위를 마치고 왔다는 페러네니야대학 교수도 함께 왔네요.
토마토 전공은 아니지만 원예 분야 연구자들이니 관심있게 살펴봅니다.
다음에는 우리센터 바로 옆에 있는 열대채소 정원도 살펴봅니다.
요즘은 우리나라에도 열대작물이 많이 들어와 있지만 다양한 작물을 살펴봅니다.
신품종인지 파파야 키가 작으면서도 줄기마다 꽃이 피고 열매가 달리고 있네요.
좁은 공간에다 여러가지 작물을 어찌나 빽빽하게 심어놨는지...
흔히 보는 작물도 있지만 처음 보는 작물들도 많지요.
바로 뒷편에 있는 국립 농업박물관도 살펴봅니다.
호롱불이나 소쿠리 등은 우리와 비슷하지요.
뒷편에 있는 농업테마파크도 맛보기로 둘러보는데 잭푸릇이 주렁주렁
스리랑카 지도에 지역별 16개 토양특성별로 구분한 토양지도
페러디니야 대학교로 이동해 농업생명공학센터 뒷편 포장에도 가봅니다.
스리랑카는 차가 주산물이니 대학에서도 차 연구를 많이 하네요.
못보던 차잎인데 차밭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시설재배 시험도 하네요.
차나무가 30년생쯤 된다는데 꽃이 예쁘게 피었네요.
담당교수가 직접 현장을 보여주고 유기농 코코넛으로 웰컴드링크도 준비했네요.
Peradeniya 대학교 포장에 스위스 프로젝트도 있는데 우리와도 협력연구를 희망하네요.

한국의 농업연구자들이 국제학회 참석차 출장왔던 길에 우리 센터를 방문하여,

스리랑카 농업과 KOPIA 정보도 공유하고 협력방안도 협의했는데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