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환 12

뉴질랜드의 농업개혁, 우리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요즘 선진국 농업개혁의 모델로 뉴질랜드와 네델란드가 자주 거론되고 있습니다. 농업정책연구소인 GSnJ의 농업구조 연구시리즈 5호 '뉴질랜드의 농업개혁, 우리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시선집중 GSnJ 제77호는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와 이정환 GSnJ 이사장이 공동 집필하였습니다. 뉴질랜드의 ..

쌀 산업의 두 가지 정책과제 (이정환)

2009. 01. 26 한경비즈니스에 실린 이정환 GSnJ 이사장의 글입니다. 쌀 산업의 두 가지 정책과제 GSnJ 이사장 이정환 쌀 산업과 관련, 지금 당장 논의하고 결정해야 할 중요한 두 가지 정책 과제를 안고 있다. 이들 과제는 단순히 쌀 생산 농가뿐만 아니라 농업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예산과 외환 수요에도 ..

함정에 빠진 쌀 직불금 논의 어디로? (이정환)

[시선집중 70호] 함정에 빠진 쌀 직불금 논의, 어디로 갈 것인가?  ○ 현재 국회에서 진행 중인 쌀직불금 논의가 “어떻게 실경작자를 가려낼 것인가?” “고소득 농외소득자와 신규 논농업 진입자를 배제할 것인가?” “지급상한을 얼마로 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 ○ 실경작자를 ..

미국산 쇠고기, 수입금지 기간동안 무슨 일이?

시선집중 GSnJ 제 59호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금지 기간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나?" 축산업 연구 열두번째 시리즈로 이정환 GSnJ 이사장과 김재훈 GSnJ 연구원이 공동 집필하였다. [목 차] 1.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불안감의 함정 2. 미국산 쇠고기 시장의 급팽창과 광우병 파동의 영향 3. 미국산 쇠고기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