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은 언제 팔아야 제일 비쌀까? [시선집중] 올해 극심한 가뭄과 세차례의 태풍을 겪었음에도 들판은 황금들녘이다. 조풍과 백수 피해로 막바지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수확기를 맞았다. 쌀을 수확한 농업인은 이제 언제 어떻게 팔아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쌀을 언제 파는게 유리한 것인지 분석한 자료가 있으니 참고하기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12.10.09
식량자급론과 수출농업론은 동색이다 [이정환] 2009년 6월 1일자 [농민신문]에 실린 이정환 GSnJ 이사장의 글이다. 그는 농업정책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논리로 많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좁은 국토에서 많은 인구를 부양하는 한국농업의 딜레마를 지적하고 있다. 식량자급은 포기할 수 없는 명제이고, 개방파고를 넘으려면 수출도 해야.. 농업경영 정보/농업 이야기 2009.06.02
뉴질랜드의 농업개혁, 우리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요즘 선진국 농업개혁의 모델로 뉴질랜드와 네델란드가 자주 거론되고 있습니다. 농업정책연구소인 GSnJ의 농업구조 연구시리즈 5호 '뉴질랜드의 농업개혁, 우리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시선집중 GSnJ 제77호는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와 이정환 GSnJ 이사장이 공동 집필하였습니다. 뉴질랜드의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9.04.21
쌀 산업의 두 가지 정책과제 (이정환) 2009. 01. 26 한경비즈니스에 실린 이정환 GSnJ 이사장의 글입니다. 쌀 산업의 두 가지 정책과제 GSnJ 이사장 이정환 쌀 산업과 관련, 지금 당장 논의하고 결정해야 할 중요한 두 가지 정책 과제를 안고 있다. 이들 과제는 단순히 쌀 생산 농가뿐만 아니라 농업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예산과 외환 수요에도 .. 농업과 식량/우리 쌀 이야기 2009.02.03
함정에 빠진 쌀 직불금 논의 어디로? (이정환) [시선집중 70호] 함정에 빠진 쌀 직불금 논의, 어디로 갈 것인가? ○ 현재 국회에서 진행 중인 쌀직불금 논의가 “어떻게 실경작자를 가려낼 것인가?” “고소득 농외소득자와 신규 논농업 진입자를 배제할 것인가?” “지급상한을 얼마로 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 실경작자를 ..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12.30
미국산 쇠고기, 수입금지 기간동안 무슨 일이? 시선집중 GSnJ 제 59호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금지 기간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나?" 축산업 연구 열두번째 시리즈로 이정환 GSnJ 이사장과 김재훈 GSnJ 연구원이 공동 집필하였다. [목 차] 1.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불안감의 함정 2. 미국산 쇠고기 시장의 급팽창과 광우병 파동의 영향 3. 미국산 쇠고기 수..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05.09
'05 쌀값 폭락의 이득은 누구에게? (이정환) 시선집중 제23호 - '05 쌀값 폭락의 이득은 누구에게 돌아갔는가? (이정환, 김병욱)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03.06
시장이 쌀 수급을 조정할 수 있는 힘이 있는가? (이정환) 시선집중 제19호 - 시장이 쌀 수급을 조정할 수 있는 힘이 있는가? (이정환) 농업경영 정보/농업경제보고서 2008.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