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문화가 결합된 6차산업 '합격쌀 농장' 농산업도 작물을 생산하는 1차산업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가공과 유통, 문화와 체험 등을 연계하는 6차산업화가 요즘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다. 경기도 가평에서 쌀농사를 짓고 있는 합격쌀 농장이 한 모델이 되고 있다. 우리 연구소가 전주로 이전하기 직전에 잠깐 다녀왔는데 이제서야 .. 농업과 식량/농업·농촌 현장 2015.03.11
동계작물 봄파종 확대로 식량자급과 소득증대 지난 가을 비가 자주 내려 보리 등 동계맥류 파종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토지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에 이모작을 해야 부족한 식량을 보충할 수 있는데, 보리 수급에 비상이 걸려 정부 차원에서 발벗고 나섰다. 동계작물 봄파종을 장려하기 위해 트랙터부착 파종기와 무.. 농업과 식량/농업·농촌 현장 2015.02.14
생산자와 소비자의 행복한 동행 이천로컬푸드 농민들이 정성껏 생산한 안전한 농산물을 믿고 살 수 있는 마당입니다. '로컬푸드'란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그 지역에서 소비하는 방식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장거리 운송에서 발생되는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보호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푸드마일리지 감축사업의 하.. 농업과 식량/농업·농촌 현장 2015.01.13
개방시대 우리 쌀도 수출로 활로 모색해야 지난 20여년 전 WTO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이 타결되면서 빗장을 풀기 시작한 한국농업이 이제는 마지막 보루였던 쌀마저 관세화하게 되었다. 거대 경제권 중국과의 FTA 협상도 일괄타결을 합의하여 이제 대부분의 농산물시장이 개방되었다. 좋든 싫든,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개방경제 시대를.. 농업과 식량/우리 쌀 이야기 2014.12.30
도단위 고품질 쌀 브랜드 다시 출현 우리 주식인 쌀도 치열한 브랜드 경쟁을 시작한지가 어느새 10여년 이상의 세월이 흘렀다. 지난 2003년부터 소비자단체가 직접 뽑는 '전국 12대 브랜드 쌀' 품평회가 열리기 시작했다. 해남의 '한눈에 반한 쌀'이 가장 많이 선정되었고, 김포금쌀, 청원생명쌀 등 우수브랜드를 배출했다. 대.. 농업과 식량/우리 쌀 이야기 2014.12.19
맛은 물론 건강을 더한 기능성 쌀 개발 쌀도 시대에 맞춰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국민의 주식인 쌀 소비가 줄어들면서 쌀 산업도 시대에 맞춰 새롭게 변신하고 있다.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이라는 기능을 더한 기능성 쌀들이 우리 식탁에 오르고 있다. 쌀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모습.. 농업과 식량/국립 식량과학원 2014.12.08
국립식량과학원장배 동호인 탁구대회 지난 주말 국립식량과학원장배 직장동호인 탁구대회가 있었다. 평소에 탁구를 즐기는 동호인들이 모처럼만에 한자리에 모였다. 소속기관들이 수원, 익산, 밀양, 평창, 무안 등 전국에 산재해 있어 모이기 쉽지 않은 일이지만 작년에 수원에서 만나고 1년반 만이다. 작년에 우승을 차지했.. 농업과 식량/국립 식량과학원 2014.10.31
다국적 경쟁시장인 홍콩의 쌀 유통실태 조사 국제금융 도시이자 관광지역인 홍콩의 쌀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몇해 전부터 우리 쌀이 조금씩 수출되기 시작하여 홍콩에도 상륙했다. 수출물량은 100톤에도 못미치지만 단가가 높아 금액으로는 4위권이다. 고급 브랜드인 '임금님표 이천쌀' 등이 수출되어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초기.. 농업과 식량/우리 쌀 이야기 2014.09.30
어느새 할배 일년 첫손주 돌잔치 사진 작년 이맘 때 날씨가 선선해지기 시작할 무렵 어쩔 수 없이 할배가 되었지요. 첫째가 결혼해 1년 반쯤 되자 손녀딸을 낳았는데 어느새 첫돌을 맞이했네요. 추석명절 연휴와 겹쳐서 돌잔치는 조금 일찍 치뤘는데 사진이 이제 나왔네요. 가족 친지끼리 기념하고자 블로그에 올려두려 하니 .. 농업과 식량/주인장 이야기 2014.09.15
식량작물 품목별 현장전문가 협의회(농촌진흥청) 이제는 농산물 시장이 완전개방되어 우리 홀로 문을 걸어잠그고 있을 수가 없다. 시장개방에 적극 대응해 우리가 살 길을 찾아야 한다. 개방과 공유, 소통과 협업이라는 시대정신에 발맞춰 식량작물 연구자와 현장농업인이 머리를 맞대고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과.. 농업과 식량/국립 식량과학원 201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