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의 싸움을 피하니 이젠 풀과의 전쟁 돌입 극심한 가뭄으로 텃밭의 작물들이 시름시름 타들어가는 것이 안타까워 적은 양이지만 말라죽지 않을 정도로만 물 떠다주면서 겨우 버텨왔는데, 장마철이 되어 물과의 싸움을 피하니 이제 풀과의 전쟁이 시작되었네요. 제초제 쓰지 않고 하는 밭농사는 검은비닐 없으면 잡초와의 전쟁이.. 농업과 식량/텃밭 & 주말농장 2017.07.20
오랫만의 단비로 텃밭 작물들 생기를 되찾다 애타게 기다리던 단비가 가끔 내려주니 텃밭 작물들이 생기를 되찾고 있네요. 장마라고 해도 국지성 소나기가 오락가락하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다행이네요. 가뭄으로 잎이 말라가던 옥수수와 고추가 비를 맞고 일단 생기를 되찾았네요. 물줘서 연명만 해오던 수박과 참외, 오이 넝쿨도 .. 농업과 식량/텃밭 & 주말농장 2017.07.13
손녀가 우리집에 오면 텃밭체험은 필수과목 어렸을 때 외가에 가면 외할머니가 텃밭에서 따주는 참외가 좋았는데, 우리 손녀도 전주 우리집에 오면 텃밭 체험을 필수로 시켜주고 있네요. 지난 주말 큰딸 식구들이 집에 왔기에 손녀를 텃밭부터 데리고 갔지요. 먼저 곧 따먹을 수 있게 된 옥수수부터 시작해서 방울토마토도 따보고, .. 농업과 식량/텃밭 & 주말농장 2017.07.05
1주일에 한번씩만 물 흠뿍 줘도 차이가 커요 매주 이틀씩 가는 나주에도 조그만 텃밭을 만들었는데 환경이 다르다. 전주에서는 주택용지 텃밭이라 물을 아파트에서 조금씩 퍼나르다 보니, 매일 아침 저녁으로 20리터짜리 물통 4개를 가지고도 턱없이 부족하다. 나주에는 다행히 바로 옆에 관수시설이 있어 주 1~2회지만 듬뿍 준다. 극.. 농업과 식량/텃밭 & 주말농장 2017.06.30
쌀 수급안정 대안으로서 친환경농업 전환방안[학회발표] 자유무역시대 최후의 보루로 남아있던 쌀이 2015년부터 관세화되고 나니, 의무수입으로 들어오는 41만톤의 수입쌀로 재고관리가 문제가 되고 있지요. 인구에 비해 경지면적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곡인 쌀의 완전자급을 달성하고 쾌재를 불렀던 것이 엊그제인데 쌀이 남아돌아 걱정이라니 .. 농업과 식량/우리 쌀 이야기 2017.06.28
경영기록장을 활용한 사과 어깨동무 컨설팅 경영기록을 바탕으로 농가와 전문가가 경영개선을 모색하는 어깨동무 컨설팅,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자원경영과(손장환 박사)에서 수행하는 농가 컨설팅이다. 어제는 곡성군 농업기술센터에서 곡성과 장성의 사과 재배농가 9농가가 참여해 재배기술, 병해충, 경영유통, 기술지원 등 전문.. 농업과 식량/농업·농촌 현장 2017.06.22
극심한 가뭄에도 토마토 등 과채류 열매맺다 요즘 한달에 한번쯤 비가 올까말까 하는 극심한 가뭄에도 불구하고, 가끔씩 집에서 물떠다 주며 애지중지 길러온 방울토마토, 가지, 수박, 오이, 참외, 파프리카 등 과채류들이 하나씩 열매를 맺어가고 있다. 고추, 가지, 오이 등 첫물을 따줘야 보다 더 많은 결실을 가져오기에, 틈나는 대.. 농업과 식량/텃밭 & 주말농장 2017.06.16
양파가 하루아침에 드러누워 단체로 시위? 어느날 아침 텃밭에 나가니 꿋꿋하게 섰던 양파가 드러누워 버렸다. 뭔가 불만이 있어 그런 것은 아니고 이제 무거운 잎을 스스로 접고, 죽기 전 마지막으로 모든 영양을 집중해 뿌리를 키우겠다는 자세다. 한날한시에 심었는데도 백색양파보다는 자색양파가 조금 오래간다. 텃밭에 작물.. 농업과 식량/텃밭 & 주말농장 2017.06.09
배재동기 99명 환갑기념 수학여행 2박3일 1973년에 배재고등학교에 시험치고 들어가 3년동안 동문수학했던 동기생들이 머리가 하얀 꽃중년이 되어 환갑기념 수학여행을 다녀왔네요. 재학시절 어느 학교에서 수학여행 중 불행한 사고가 있어 수학여행이 전면 중단되는 사태가 있었는데, 졸업 후 41년만에 동기생들이 스스로 기획.. 농업과 식량/주인장 이야기 2017.06.06
굶주리는 세계 어떻게 구할 것인가? [장 지글러] 장 지글러의 "굶주리는 세계, 어떻게 구할 것인가?"를 읽다 말고 덮어둔 지가 상당히 오랜데 이제야 다 읽었네요. 지난 2013년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후속편으로 읽겠다고 사서는 덮어두었는데 이제야 마무리를 했습니다. 세계 식량문제를 고민하며 그때 꼭 읽었어야 하는데 책장.. 농업과 식량/식량안보 대응 2017.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