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농업 21

[스크랩] 아프리카 DR콩고에 뿌리내린 식량한류

KOPIA가 농촌진흥청에서 차지하는 사업영역은 그리 크지 않지만, 그 파급력은 상상이상이다. 유엔사무총장을 배출한 나라로서 세계의 식량문제 해결에 앞장서 국격(國格)을 높이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콩고에 가지고 있는 인식은 어떤 것이 있을까? 내전과 독재정치, 말라리아, AIDS, 빈곤... 우리가 알고 있는 콩고는 부정적인 인식이 짙고, 그 나라에 대해 자세히 아는 사람이나 그 나라가 어디에 있는지 조차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표면적인 것이며, 그 안을 세세히 들여다 보면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R콩고는 우리나라의 60년대와 닮아있다. 식민지를 경험했고, 내전으로 많은 고통을 겪었으며, 부정부패로 인해 시설기반이 많이 무너져 있다. 그러나 국토면적이..

검은대륙에서 녹색외교 [신문기고]

"식량위기 검은대륙에서의 녹색외교" - KOPIA DR콩고, 아프리카 농업개발 지원 - 박 평 식 박사 농촌진흥청 KOPIA콩고센터 소장 지난 2008년 세계 식량사정이 심각한 상황이었을 때, 곡물가격 상승이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애그플레이션 현상이 일반화됐다. 그 후 조금 안정되었다고 하지만 세계 식량위기는 안심할 수 없는 수준으로 계속 진행 중이다. 특별히 10억의 인구를 가진 아프리카 대륙의 식량난은 최악의 상황이다. 영양실조나 끼니를 굶는 인구가 수도 없이 많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세계 농업과 식량문제에 기여하기 위한 기술원조 사업으로 2009년부터 아시아-아프리카-남미지역에 해외농업기술개발센터(KOPIA : Korea Project on International Agriculture)를 설치해 운영..

아프리카 농업개발을 위해 DR콩고에

"아프리카 식량문제에 기여키 위해 DR콩고 KOPIA센터 개설"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에서는 세계농업과 식량문제에 기여하기 위해 작년부터 아시아-아프리카-남미 지역에 해외농업기술개발센터(KOPIA)를 개설하고 있다. 2009년 동남아(베트남), 아프리카(케냐), 남미(파라과이), CIS(우즈베키스탄) 등 거점센터를 설치하고, 국가센터로 동남아(미얀마, 캄보디아, 필리핀), 남미(브라질), 아프리카에 올해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과 알제리 센터를 개설하게 된다. DR콩고는 아프리카 중서부에 위치한 나라로 국토면적이 235만 평방키로미터로 세계에서 12번째, 아프리카에서 두번째로 큰 나라로 다양한 광물자원이 유명하다. 우리나라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그동안 교류가 적어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DR콩고 KOP..

[스크랩] 한국농업, 아프리카 빈곤 탈출 돕는다

우리의 농업기술로 아프리카의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가 아프리아프리카와 손을 맞잡았다.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지난 6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우리의 농업기술을 아프리카로 전수하기 위해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KAFACI·Korea-Africa Food&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

농촌진흥청 해외사업 확대 식량기지 확보

"농촌진흥청 해외사업 확대 식량기지 확보" - 한식문화 전파 기호도 높은 메뉴 현지화 추진 - 나승렬 기술협력국장 농촌진흥청이 올해 해외 농업기술 협력사업을 확대해 미래의 식량기지를 확보하고 개도국 농업·농촌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2월 4일 ‘2010 해외 농업기술..